●sudo ~~ : 명령을 최고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함.

 

● 일반적 명령어 포맷

 ▶ verb [option(s)] [argument1 argument2 ...]

  ▷verb : 커맨드 이름

  ▷option : 커맨드 수식어 (주로 1글자)

  ▷argument : 명령을 위한 추가 정보 (파일명...)

 

▶date : 인수가 없다면, 현재 시스템의 시간, 날짜를 출력 / 인수가 있으면 현재 시스템의 시간과 날짜를 변경

 ◎ date [yymmddhhmm [ss] ] - 

 ○ -u : GMT 기준

 

▶cal : 달력 출력

 ◎ cal [[month] year]

 

▶who : 사용자 정보

 ◎ who [option] [am i] 

 ○ -u : Idle time

 ○ -H : Header

 

▶passwd : 비밀번호 변경

 ◎ passwd

 

▶echo : 표준 출력

 ◎ echo (string)

 

▶man : 메뉴얼

 ◎ man [option] [keyword]

 ○ -k : 키워드로 검색

 ○ count : 섹션 넘버

Section Description

▶clear : 화면 청소

 ◎ clear

 

▶cat : 파일의 내용을 보거나 표준입력(키보드)으로 입력된 문자들을 파일로 저장

 ◎ cat [option] [input files..]

 ○ -e : 줄 끝 $ 출력

 ○ -n : 줄 번호

 ○ -s : 에러 메세지 X

 ○ -t : 탭, 폼피드 출력

 ○ -u : unbuffered output

 ○ -v : control character 출력

 ▷ >(리다이렉션) : 키보드로 입력해 저장 / 파일 내용 복사

 ▷ 파일이 여러 개면 여러 개를 묶어서 보여줌

 

▶more : 화면 단위 출력

 ◎ more (input file)

 ▶내부 제어 커맨드

  ▷Pg Up, b : 한 페이지 전

  ▷Pg Down, Space : 한 페이지 후

  ▷G : 파일 끝으로

  ▷/characters : 파일 내 해당 내용으로 검색

  ▷n : 다음 검색

  ▷q : 나가기

 

▶less : 줄 단위 출력

 ◎ less (input file)

 ▷more의 내부 제어 커맨드와 더불어 화살표로 제어 가능

 

▶head : 파일 처음 내용 출력

 ◎ head [-count] (input file)

 ○ -count : 출력할 줄 수 (기본 : 10)

 

▶tail : 파일 끝 내용 출력

 ◎ tail [-count] (input file)

 ○ -count : 출력할 줄 수 (기본 : 10)

 

▶uname : 시스템 정보 보기

 ◎ uname [option]

 ○ -a : all

 ○ -n : name only

 ○ -s : operating system

 ○ -r : release

 

▶finger : 사용자 정보 알기

 ◎ finger [ID]

 

▶file : 파일 타입명 보기

 ◎ file (file)

 

▶type : 명령어 타입 보기

 ◎ file (command)

 

▶which : 커맨드 binary execuatable 위치 검색

 ◎ which (command)

 

▶whereis: 커맨드 binary, source,  위치 검색

 ◎ whereis (command)

 

▶wc : 줄, 단어, 바이트 수를 출력

 ◎ wc (file)

 

▶script : shell session 전체를 기록하고, 파일에 저장함

 ◎ script [option]

 ○ -a : appends

 ▷script를 입력하면 기록 시작, exit에서 기록 종료

 

▶bc : 계산기

 ◎ bc

 

▶Directory commands

▶File commands

▶Display commands

▶System Resource commands

▶Working with Files

▶File Archiving, Compression

 

'컴퓨터 지식 > Linux - 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 요소  (0) 2020.03.23

※ Linux : 오픈소스, Unix : 대학, 회사 등등에서 선호하는 OS

▶Unix -  거의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가능한 OS

 ▶요소

 

Unix 요소

  ▶Kernal(커널) - 운영체제의 핵심

   ▷시스템을 설정

   ▷기기, 메모리, 스왑 공간, 프로세스, 데몬(Daemon), 파일 시스템 관리

   ▷시스템 프로그램과 시스템 하드웨어 사이의 기능을 제어

   ▷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 제공

※ 데몬(Daemon) :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.

  ▶Shell(쉘) - 커맨드 interpreter/translator

   ▷유저와 유저 프로그램 사이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

   ▷커맨드를 받고, 이를 해석하고, 실행함.

    ▶종류

     ▷Bourne - 기본

     ▷C - C 언어와 비슷한 문법

     ▷Korn - Bourne의 확대집합

     ▷BASH - Bourne-Again, C, Korn의 장점을 포함한 Bourne 호환 쉘

     ▷Z - Korn에서 많은 향상을 거친 쉘

     ▷TC - C에서 향상을 거친 쉘 (C와 완전 호환)

 

▶터미널 (Terminal)

 ▷컴퓨터에서 데이터에 들어가고, 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인쇄하데 쓰이는 전기적 하드웨어 (?)

 ▷GUI 위에서 동작하는 커맨드-라인 인터페이스 (콘솔과는 다름 - GUI를 거쳐 실햄함)

 ▶다양한 모드

  ▷Character mode -> 타이핑된 입력이 즉시 시스템에 전송된다.

  ▷Line mode -> Local line editing 기능을 제공한다. 한 줄이 완료되었을 때 전송된다.

  ▷Block mode -> Local full-screen data기능을 제공한다. (한 화면을 전송한다?)

'컴퓨터 지식 > Linux - 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erminal 명령어(기본)  (0) 2020.03.23

▶헤더파일 - 변수(variable), 함수(function), 클래스(class) 선언

 ▷C와는 다르게 확장명을 사용하지 않음.

 ▷앞에 c를 붙여 c언어에서 사용하던 헤더파일도 사용가능 (cstdio, cstdlib)

 ▷표준 입출력 : iostream 사용

 

▶표준 입/출력

 ▷입력 : cout <<< "Hello, " << name << endl;

 ▷출력 : cin >> i >> f >> s;

 

▶string 클래스

 ▷문자열을 저장하는 클래스 string 사용

 ▷c와는 다르게 끝에 \0가 들어가지 않음.

 

▶함수 오버로딩(overloading)

 ▷동일한 이름이라도 매개변수의 수 및 타입이 다르면, 여러 함수를 호출 가능하다.

 

▶인라인(inline) 함수

 ▷함수의 목적 코드로 분기하는 대신에 인라인 함수의 소스코드가 호출코드에 삽입되어 컴파일

 ▷컴파일 과정에 호출되는곳에 내용이 쓰인다?

 

▶클래스(class)

 ▷객체지향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

 ▷관련 변수, 함수 등을 하나의 단위로 정의

 ▷프로그램은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이용하여 동작한다. ex) ~~~.print();

 ▷기존 struct와 유사한 개념이다. (c의 struct와 c++의 struct는 같지 않다?)

 

▶상속(inheritance)

 ▷기존에 정의된 클래스의 모든 멤버를 물려 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하는 방법

 ▷하위 멤버에서 추가된 멤버 + 물려 받은 멤버

 

▶연산자 오버로딩(overloading)

 ▷클래스에 대한 연산자를 정의하고 사용함.

 

▶템플릿(template) 함수/클래스

 ▷기능은 동일하지만 다른 데이터타입을 대상으로 동작하는 함수/클래스

 

▶예외처리(exception handling)

 ▷예외의 발생에 대한 조건 검사 및 처리 지원

 ▷throw, try, catch

 

▶네임스페이스 (namespace)

 ▷변수/함수/클래스 등의 이름에 대한 공간

 ▷식별자에 대한 유일한 이름을 부여하고, 이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함.

'컴퓨터 언어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eader, iostream  (0) 2020.04.26

▶Rules of Sum and Product

 ▶Rules of Sum(합의 법칙)

  ▷두 사건 A, B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때, 사건 A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m이고, 사건 B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n 이면 사건 A 또는 사건 B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m + n이다.

 ▶Rules of Product(곱의 법칙)

  ▷사건 A가 일어나는 경우의 수가 m가지이고, 사건 B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n가지이면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 m×n가지이다.

 

▶Permutations (순열)

 ▷서로 다른 n 개 중 r 개를 골라 순서를 정해 나열하는 경우의 수

 ▷P(n,,r) = n×(n-1)×(n-2)×⋯×(n-r+1) = n!/(n-r)!

 

 ▶중복순열

  ▷중복을 허용하여 서로 다른 n 개 중 r 개를 순서 있게 나열하는 경우의 수

  ▷Π(n,r) = n^r

  ▷n개의 나열 중 n1개가 서로 구분할 수 없다면, n1!만큼 나눈다. (n!/n1!)

 

 

▶Combinations (조합)

 ▷서로 다른 n개 중에서 r개(n≥r) 취하여 조를 만들 때, 이 하나하나의 조를 n개 중에서 r개 취한 조합이라고 한다.

 ▷C(n,r) = C(n,r) = P(n,r)/r! = n!/r!(n-r)!

 ▶Binomial Theorem (이항정리)

이항 정리

  ▶Corollary(따름 정리)

 

따름 정리

 ▶중복 조합

  ▷서로 다른 n개인 것 중에서 r개 취하는 조합에서 중복을 취하는 것

  ▷H(n,r) = C(n+r-1,r)

  ▷일렬로 나열된 n개의 물건을 r-1개의 구분선을 이용해 구분한 것으로 이해하면 편하다.

 

 

 

참고자료

곱의 법칙 :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926027&cid=47324&categoryId=47324

합의 법칙 :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5678006&cid=47324&categoryId=47324

순열 :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223701&cid=40942&categoryId=32213

조합 :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223702&cid=40942&categoryId=32213

중복순열 :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5741127&cid=40942&categoryId=32213

 

 

'수학 > 이산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uler Trail  (0) 2020.10.20
Regular Graph  (0) 2020.10.20
Walk, Vertex Degree  (0) 2020.10.20
Graph  (0) 2020.10.19
이산수학(Discrete Mathematics)  (0) 2020.03.17

 ※행렬 기본 단어

▶Row Echelon Form (행사다리꼴 행렬)

 ▷Leading 1 :  0이 아닌 행(row)의 leading entry 는 1이다. (일부 문헌에서?)

 ▷Leading Right : 0 이 아닌 각 의 leading entry는 위 의 leading entry보다 오른쪽에 있다.

 ▷Zero Row : 모든 0 들은 0이 아닌 들의 아래에 있다.

 

 +▷Zero Up-Down : 선행 계수 1이 존재하는 열(column)에서 그 선행 계수 1 이외의 의 배열원소가 모두 0이다.

    -> Reduced row echelon form (기약 행사다리꼴 행렬).

 

▶가우스 소거법(Gauss Elimination)

 ▶메인 대각선 아래를 모두 0으로 만든다. -> 행 사다리꼴

  ▷1열 요소가 0이 아닌 행을 하나 택한다.

  ▷이를 위쪽에 올리고(interchange), 나머지 는 그 열에서 0으로 만들도록 계산한다.(Elimination) 이 과정을 열을 오른쪽으로 옮겨가며 반복한다.

  ▷pivot(기준)은 행렬이 Elementry Row Operation에 의해 다른 equivalent한 행렬로 변해도 열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다.

 ▶아래에서 위로, pivot들은 1이 되게, 피봇을 제외한 열(column)의 다른 요소들은 0이 되게 만든다. -> 기약행 사다리꼴

  ▷기약행 사다리꼴 행렬은 계산 전 시스템과 equivalent한 시스템이지만, 기약행 사다리꼴 으로는 오직 하나만 있다.

 

※ Pivot(기준) Position : 행사다리꼴 행렬에서 leading entry의 위치, 이는 행사다리꼴 행렬에서 변하지 않는다.

 ▷Partial Pivoting : 1열에서 그 절대값이 가장 큰 값을 1열의 leading entry로 한다.

 ▷Full Pivoting : 전체 행렬에서 그 절대값이 가장 큰 값을 강제로 옮겨 그 값을 1열의 leading entry로 한다. -> 그 과정에서 변수 순서를 바꿔야 한다. (ex) x_1 <-> x_3)

 

▶선형 시스템의 해

 ▷첨가 행렬에 대해 가우스 소거법의 초기 과정을 이행한다. 이 과정에서 마지막 열(상수부)이 pivot이라는 것을 찾으면, 멈춘다. 이 선형 시스템은 불일치이다. (해가 없다)

 ▷가우스 소거법을 끝낸다. 첨가 행렬의 기약행 사다리꼴을 적는다. (0인 방정식은 무시한다.)

 ▷기약행 사다리꼴 행렬의 선행 변수(leading variable) = pivot, 자유 변수(free variable)을 구분한다. leading variable을 free variable와 상수에 대한 식으로 쓴다.

 ▶해의 존재

  ▷첨가 행렬의 사다리꼴 행렬에서 마지막 열(column)=상수부가 pivot가 아니라면, 일치(consistent)하는 선형 시스템이다.

  ▷ = 행렬에서 [0 0 0 0 ... 0 : c], c!=0 의 형태가 있다면, 불일치(inconsistent)하는 선형 시스템이다.

 ▶해의 유일성

  ▷일치하는 선형 시스템에서 자유 변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, 오직 하나의 해를 가진다.

  ▷일치하는 선형 시스템에서 첨가 행렬이 마지막 열 이외의 모든 열이 pivot이고, 마지막 열은 pivot이 아니면 오직 하나의 해를 가진다.

 ▶해의 개수 - 다음 중 하나의 해집합을 가진다.

  ▷하나의 해

  ▷무수히 많은 해

  ▷해를 가지지 않음

 ▶Homogeneous 선형 시스템의 해

  ▷하나의 해, 또는 무수히 많은 해를 가진다 -> 일치(consistent)하는 선형 시스템이다.

  ▷자유 변수를 가지거나, 방정식보다 많은 변수를 가진다면 무수히 많은 해를 가진다.

 

  

참고자료

행사다리꼴행렬 :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thescyther&logNo=221058092722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.kr%2F

가우스소거법 : https://bskyvision.com/273

'수학 > 공학선형대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djoint of Matrix  (0) 2020.06.21
행렬식 (Determinant)  (0) 2020.06.21
Elementary Matrix, LU Factorization  (0) 2020.06.20
행렬(Matrix) 기초  (0) 2020.06.19
선형 시스템 (Linear System) 기초  (0) 2020.03.1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