▶마이크로 프로세서 (microprocessor - MPU, μP)

 ▷컴퓨터 중앙처리장치를 단일 IC 칩에 집적해 만든 반도체 소자

 ->CPU를 하나의 칩으로, 범용적인 목적을 위함

 ex) Intel Core i7

 

▶마이크로컴퓨터

 ▷마이크로프로세서, 기억장치, 입출력 장치 등을 모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. - 지금의 컴퓨터?

 ▷소형 경량화, 저 소비전력, 저가, 부품 수 감소로 인한 신뢰 향상

 -> 마이크로프로세서 + ROM, RAM, 입출력장치 등

 

▶마이크로컨트롤러 (microcontroller - μC)

 ▷단일 칩 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CPU코어(core)와 함께 한정된 용량의 주기억장치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내장

 ▷칩하나만으로 기본적 컴퓨터의 능력 수행 -> 시스템 단순화 및 저가격화 가능

 ▷기기제어용으로 주로 사용

 ▷IC소자 1개로 완전한 형태의 컴퓨터 구성됨. -> 단일 칩 마이크로 컴퓨터 (마이크로컴퓨터의 일종)

 ▶특징

  ▷소형, 경량화 가능

  ▷저렴함

  ▷이식성이 뛰어남

  ▷신뢰성이 높음 (시스템 구성 소자수가 적음)

 -> 마이크로컴퓨터의 모든 부품을 하나의 반도체칩에 집적한 것. 특정 목적에 특화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일종

 ▶장단점

  ▷ 간단한 회로 (점등 회로)는 하드웨어로만 구현하는 방식에 비해 장점이 없음

  ▷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능을 100% 사용하지 않음

  ▷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구현 필요

  ▷ 기능 변경/추가가 소프트웨어로만 가능

  ▷ 무어의 법칙에 따라 성능은 발전하며, 가격을 하락중

 ex) ATmega256

 

※ 무어의 법칙

 24개월마다 칩 안의 트랜지스터 개수가 2배가 된다. - 발전 속도가 빠르다.

 

▶마이크로컨트롤러보드

 ▷마이크로컨트롤러 + a

 

▶교차 개발 환경

 ▷프로그램 개발을 개발 시스템(데스크톱)에서 진행

 ▷교차 컴파일러를 이용해 목적 시스템(마이크로컨트롤러)에서 실행되는 기계어 파일 생성후 업로드

 ▶업로드 방식

  ▶ ISP(In System Programming) : SPI 시리얼 통신 사용, μC의 메모리에 직접 프로그램 기록

  ▶ Serial : UART 시리얼 통신 사용, 부트로더로 μC의 메모리에 프로그램 기록, 아두이노에서 주로 사용

 

▶Auduino Mega2560

 ▶AVR2560 μC사용

  ▷AVR - Alf and Vergard's RISC processor

  ▷RISC와 CISC의 장점을 모두 가짐

  ▷CISC - 복잡하고 다양한 명령 지원

  ▷RISC - 모든 명령이 한 사이클에 시행, 여러 레지스터

'컴퓨터 지식 > 아두이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디지털 입력 - 버튼  (0) 2020.06.12
String 클래스  (0) 2020.06.12
디지털 출력 (LED)  (0) 2020.06.12
Arduino IDE 기초  (0) 2020.06.12
아두이노  (0) 2020.06.12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