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Page-Structure Elements
▷웹 사이트에서 구역을 정의하는 블록수준의 요소들.
▷기본적으로는 아무 기능도 없다. (CSS에서 디자인을 정의해야 함)
○header (<header> ~ </header>)
▷일반적으로 큰 제목, 로고 등이 있는 큰 띠.
○navigation bar (<nav> ~ <nav>)
▷홈 페이지의 메인 섹션으로 연결을 도와주는 bar
▷대부분 메뉴 버튼이나 링크, 탭으로 표현됨.
○main content (<main> ~ </main>) (<article>, <section>, <div> 등도 사용됨,)
▷웹 페이지의 중심으로, 보여주고 싶은 내용을 보여줌.
▷article (<article> ~ </article>) : 주로 외부에서 가져온 내용
▷section (<section> ~ </section>) : 구획
○side bar (<aside> ~ </aside>) (주로 main안에서 나타남)
▷웹 페이지 주변(옆)의 링크, 인용부, 광고 등
○footer (<footer> ~ </footer>)
▷페이지의 바닥 줄로, 주로 작은 정보들, 저작권, 연락처 등을 표시)
○mark (<mark> ~ </mark>)
▷내용이 중요함을 알림.
○wbr (<wbr>)
○페이지의 줄바꿈 규칙을 무시하고, 줄을 바꿀 수 있는 위치
○figure (<figure> ~ </figure>)
▷이미지가 나올 때, 이를 설명하는 내용과 함께 나온다.
▷설명 내용 : <figcaption> ~ </figcaption>
○detail(<detail> ~ </detail>)
▷기본적으로 안의 내용을 숨기고 있으며, summary (<summary> ~ </summary>)내의 내용만 보여줌.
▷클릭하여 내용을 보고 숨길수있음.
○meter(<meter> ~ </meter>)
▷Range를 이용하여 길이를 보여줌.
▶속성 - range와 유사함.
※Inline-level element / Block-level element
○Inline-level element
▷문서의 흐름을 바꾸지 않음 (따로 박스를 생성하지 않음)
▶종류 (예시) : img, a, em, strong, span - CSS를 위한 그룹화 요소,non-semantic
○Block-level element
▷자신이 따로 글자 박스를 만듬.
▶종류 (예시) : p, all headings(h1~h6), div - CSS를 위한 그룹화 요소,non-semantic
'컴퓨터 언어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utocomplete, datalist (0) | 2020.09.21 |
---|---|
Form (0) | 2020.09.14 |
Table (0) | 2020.09.14 |
List (0) | 2020.09.14 |
Special Characters, Horizontal Rules, 첨자, 취소선 (0) | 2020.09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