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 조건문

○ 조건에 따라 실행할 문장을 선택한다.

 

▶ if 문

◎ if(조건) 문장

    : 조건이 참이라면 다음 문장을 실행한다.

▷ 문장 여러개를 한 if문에 묶으려면 중괄호(바디) 사용한다. - if(조건) {문장....}

 

▶ if-else 문

◎ if(조건) 문장

    else 문장

    : 조건이 참이라면 if 다음 문장을 실행후 if-else의 끝으로, 조건이 거짓이라면 else의 다음 문장을 실행후 if-else 의         끝으로

▷ 마찬가지로 문장 여러개를 한 if, else에 묶으려면 중괄호(바디) 사용.

▷ else 에서 또다른 if-else를 연계해서 부른다면 여러 분기를 나눌 수 있음. (if ... else if ... else) 

 

▶ switch 문

◎ switch(조건-정수변수) {

   case 정수상수: 문장 [break;]

   ...

   [default : 문장]

    : 조건의 정수에 맞는 case 에서부터 문장을 실행한다.

▷ break는 switch문을 탈출시킨다.

    이를 이용해 조건의 정수와 같은 case의 문장만을 실행시킬 수 있다.

▷ case는 : 를 문장을 서술하며, 중괄호를 쓰지 않는 것을 주의.

 

 

● 반복문

○ 조건을 만족하면 특정 문장을 만족하여 실행.

 

▶ while 문

◎ while(조건) 문장

    : 조건이 참이라면 다음 문장을 실행. 문장이 끝나면 다시 조건을 검사한다. 이를 계속해서 반복.

▷ 중괄호(바디)를 이용해 문장 여러개를 묶을 수 있다.

 

▶ do-while 문

◎ do 문장 while(조건)

    : 문장을 1회 시행한 후, 조건을 검사한다.

      조건이 참이라면 문장을 다시 실행한다. 이를 계속해서 반복.

▷ 중괄호(바디)를 이용해 문장 여러개를 묶을 수 있다.

 

▶ for 문

◎ for(반복변수 초기화; 반복변수 조건; 반복변수 증감) 문장

    : 진입할 시 반복변수 초기화 실행.

      이후 반복변수 조건 검사 -> 문장 실행 -> 반복변수 증감 실행 을 반복. (조건이 거짓이면 탈출)

▷ 중괄호(바디)를 이용해 문장 여러개를 묶을 수 있다.

▷ 반복변수 조건에서 조건을 꼭 반복변수로 검사할 필요는 없다. (2번째 문장의 조건이 참이면 실행)

 

 

● 분기문

○ 조건없이 실행 순서를 변경한다.

 

▶ goto 문

◎ goto 라벨

    : 해당 라벨로 문장 실행 순서를 이동한다.

    [라벨 : ]의 형태로 라벨이 구성되어있다.

▷ 좋지 않은 문장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.

 

▶ return 문

◎ return [반환값];

    : 반환값을 전달한 뒤, 함수를 빠져나간다.

▷ void 함수라면 반환값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. (return 문장을 넣지 않아도 된다.)

▷ void 함수가 아니라면 왠만하면 있어야 한다.

 

▶ continue 문

◎ continue;

    : 반복문 내에서 사용.

      해당 반복문의 조건 검사부로 이동한다. 그 사이에 있는 문장은 생략한다.

 

▶ break 문

◎ break;

    : 반복문 내에서 사용.

      해당 반복문을 빠져나간다. 

 

 

● 함수 호출

◎ 함수이름(매개 변수);

    : 해당 함수를 실행 한 뒤, 다시 호출 위치로 돌아온다.

'컴퓨터 언어 >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연산자  (0) 2019.11.13
이스케이프 시퀸스  (0) 2019.09.03
변수  (0) 2019.09.03
자료형과 형변환  (0) 2019.07.25
서식  (0) 2019.07.25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