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Event

 ▷사용자의 행동. 이에 반응하여 다른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.

 

 ▶Event handler

  ▷Event에 반응하여 호출되는 function

  ▷Event에 Event handler 추가: registering an event handler - addEventListener

  ▷Event에 Event ganlder 제거: removeEventListener

 

 ▶Event registering

  ▶Inline model

   ▷HTML코드에서 이벤트 함수 설정

   ▷대부분의 event 앞에 on이 붙음. (onload, onfocus...)

   ▷ex) <body onload = "start()"> / document.onload = "start()";

 

  ▶Object.addEventListener ( 이벤트 타입, 실행할 이벤트 리스너, 이벤트 전파 방식 ) 

   ▷해당 객체에 이벤트 리스너를 전달함.

   ▷이벤트 타입: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할 이벤트를 문자열로 전달.

    ▷load, ended, click, mouseover, mouseout...

    ▷이벤트 타입들: 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Events

   ▷실행할 이벤트 리스너: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할 이벤트 리스너 전달. (ex) 함수명)

   ▷이벤트 전파 방식: false면 버블링, true면 캡쳐링

    ▷버블링: 이벤트가 발생한 요소부터 시작해서, DOM 트리를 따라 위쪽으로 올라가며 전파

    ▷캡쳐링:  이벤트가 발생한 요소까지 DOM 트리의 최상위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전파

 

 ▶Event Bubbling

  ▷Event가 일어나면,

  ▷해당 element의 Event handler가 먼저 호출되고, 

  ▷부모의 Event handler가 호출됨.

  ▷cancelBubble을 통해 bubbling을 취소할 수 있음.

 

 

 

 

○Event 종류

 ▷www.w3schools.com/js/js_events_examples.asp

 ▶load

  ▷해당 element가 load될 때

 

 ▶mousemove

  ▷마우스가 해당 element위에서 움직일 때

 

 ▶mouseover

  ▷마우스가 해당 element에 진입할 때

 

 ▶mouseout

  ▷마우스가 해당 element에서 나갈 때

 

 ▶focus

  ▷해당 element가 focus를 얻었을 때 (Tab키 or Click을 통해)

 

 ▶blur

  ▷해당 element가 focus를 잃었을 때

 

 ▶submit

  ▷submit할때 (input에서 type = "submit"인 버튼)

 

 ▶reset

  ▷reset할때 (input에서 type = "reset"인 버튼)

 

 

 

○Event Object (이벤트 객체)

 ▷Event handler 함수가 jQuery에서 콜백될 때, 이벤트 객체를 함수의 인자로 전달함.

 ▷이벤트의 특성을 결정하거나, 기본 동작을 막을 수 있음.

 

 ▶메서드, 내부 변수

 

  ▷pageX : 브라우저 화면을 기준으로 한 마우스 X 좌표 위치

  ▷pageY : 브라우저 화면을 기준으로 한 마우스 Y 좌표 위치

  ▷preventDefault() : 기본 이벤트를 제거합니다.

  ▷stopPropagation() : 이벤트 전달을 제거합니다.

 

 

 

'컴퓨터 언어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ML DOM  (0) 2020.10.28
JSON  (0) 2020.10.28
Cookie, Web Storage  (0) 2020.10.27
Object - Method, Member function  (0) 2020.10.18
Array  (0) 2020.10.18

+ Recent posts